영 화 명 바튼 아카데미(2024) 추 천 사 아들을 잃은 주방장 ‘메리’…
영 화 명 나의 올드 오크(2023) 추 천 사 켄 로치 감독의 이…
영 화 명 플랜 75(2024) 추 천 사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도 서 명 Michelle Zauner(2021), <Crying in H Mart> 추 천 사 …
도 서 명 장대익(2022), <공감의 반경> 추 천 사 공감은 늘…
도 서 명 앨리스 셰퍼드, 엘런 새뮤얼스 외 3명(2023), <급진적으로 존재하기> 추 천 사 …
도 서 명 박지현(2022), <참 괜찮은 태도> 추 천 사 …
영 화 명<클로즈> (2022) 추 천 사지금 내가 느끼는 기쁨이 과연 타인이 느끼는 기쁨과 같은 감정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같은 이름 하에 놓이는 감정이라면 우리가 진정 같은 것을 느끼는 것일까? 무한을 함부로 말할 수…
영 화 명<로렐> (2016) 추 천 사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영화관을 나오면 시작되는 영화가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영화를 보는 짧은 2시간의 경험은 때로 우리를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바꿔 놓기도 합니다. 이…
도 서 명<성소수자 지지를 위한 동료 시민 안내서> (2022)추 천 사“LGBTQ+ 가 되는 것은 선택이 아니지만, 앨라이가 되는 것은 선택이다.(255p)”특정 소수자 집단에 속하지는 않으나 해당 집단을 옹호하는 사람을…
도 서 명<이규식의 세상 속으로: 나의 이동권 이야기> (2023) 추 천 사호기심의 시작은 홍은전 작가의 칼럼 <어떤 생애의 탄생 (한겨레, 2023)>이었다(https://www.hani.co.kr/arti…
도 서 명<혐오 없는 삶> (2021) 추 천 사언제부턴가 이 사회에는 거대한 동질성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강요가 뒤덮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누군가를 만날 때, 그자가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이인지 확인한 뒤에…
도 서 명<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2021) 추 천 사이 책은 자폐에 관한 책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그 이유는 이 책이 자폐가 처음 명명된 순간부터 신경다양성 개념이 생겨난 오늘날까지의 과정을 마치 다큐멘터…
도 서 명<어느 날, 난민> (2018) 추 천 사당신은 난민인가?위 질문에 확실하게 긍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난민이라 하면,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차이로 인한 박해를 피해 외국이나 다른 지방으로 탈출하는 사람들'이…
영 화 명<내일을 위한 시간> (2015) 추 천 사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영화관을 나오면 시작되는 영화가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영화를 보는 짧은 2시간의 경험은 때로 우리를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바꿔 놓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