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서 명 Michelle Zauner(2021), <Crying in H Mart> 추 천 사 …
도 서 명 장대익(2022), <공감의 반경> 추 천 사 공감은 늘…
도 서 명 앨리스 셰퍼드, 엘런 새뮤얼스 외 3명(2023), <급진적으로 존재하기> 추 천 사 …
도 서 명 박지현(2022), <참 괜찮은 태도> 추 천 사 …
도 서 명<성소수자 지지를 위한 동료 시민 안내서> (2022)추 천 사“LGBTQ+ 가 되는 것은 선택이 아니지만, 앨라이가 되는 것은 선택이다.(255p)”특정 소수자 집단에 속하지는 않으나 해당 집단을 옹호하는 사람을…
도 서 명<이규식의 세상 속으로: 나의 이동권 이야기> (2023) 추 천 사호기심의 시작은 홍은전 작가의 칼럼 <어떤 생애의 탄생 (한겨레, 2023)>이었다(https://www.hani.co.kr/arti…
도 서 명<혐오 없는 삶> (2021) 추 천 사언제부턴가 이 사회에는 거대한 동질성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강요가 뒤덮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누군가를 만날 때, 그자가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이인지 확인한 뒤에…
도 서 명<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2021) 추 천 사이 책은 자폐에 관한 책이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그 이유는 이 책이 자폐가 처음 명명된 순간부터 신경다양성 개념이 생겨난 오늘날까지의 과정을 마치 다큐멘터…
도 서 명<어느 날, 난민> (2018) 추 천 사당신은 난민인가?위 질문에 확실하게 긍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난민이라 하면, '인종, 종교 또는 정치적 차이로 인한 박해를 피해 외국이나 다른 지방으로 탈출하는 사람들'이…
도 서 명박정수(2020), <‘장판’에서 푸코 읽기: 장애의 교차로에서 푸코를 만나다>, 오월의 봄 추 천 사인문사회 계열 학생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마주치게 되는 푸코, 그 푸코의 이론을 통해 지금 우리가 당면한 한국 사…
도 서 명노라 엘렌 그로스(2003),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장애 수용의 사회학>, 한길사 추 천 사우리가 외국어로 영어를 사용하듯이, 수화를 또다른 언어로 사용하던 섬이 있다. 청각장애인의 비율이…
도 서 명Dalai Lama (2011), <Beyond Religion: Ethics for a Whole World>, HarperOne 추 천 사Diversity is a word often associated wit…
도 서 명희정(2019), <퀴어는 당신 옆에서 일하고 있다>, 오월의 봄 추 천 사‘우리는 보편성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보편의 또 다른 이름이 특권이라는 사실도 잊는다.(9p)’당연스레 전제되는 기준에서 벗어났다…
도 서 명룰루 밀러(2021),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곰출판 추 천 사생명 존중은 다양성에 대한 깊은 통찰과 이해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실천적 가치다. 기존 생태학 패러다임이 어느 한 종이 어떻게 자연계를 우점했는…
도 서 명앤드루 포터(2019),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문학동네 추 천 사얼핏 보면 물리학 전공 서적인가 싶은 제목을 가진 앤드루 포터의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은, 다양한 인물의 내면이 세밀하게 서술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