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 이주민을 향한 부끄러운 자화상 (한국일보, 2022.10.26.)
22-10-26 16:53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10-26 16:53 조회2,27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아직은 이주민에게 배타적인 우리나라, 인구절벽으로 조만간 대규모 수용 불가피, 열린 마음과 사랑으로 이주민을 포용해야
아직은 이주민에게 배타적인 우리나라, 인구절벽으로 조만간 대규모 수용 불가피, 열린 마음과 사랑으로 이주민을 포용해야
얼마 전 학교 일로 제주도에 갔다 포도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라는 제목의 전시를 관람했다. 전시는 '디아스포라와 세상의 모든 마이너리티'를 주제로 삶의 터전을 떠나 낯선 곳에 정착한 이주민의 삶을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미디어 아트와 설치 작품 등으로 이루어진 전시 자체도 훌륭했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이주민의 삶과 소외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누적 관람객이 개막 3달 만에 2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이주민에게 가장 배타적인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 2021년 말 현재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숫자는 약 200만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약 3.8% 수준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과 유럽 주요국에서 이 비중은 10%가 넘는다. 또한 우리나라의 난민 인정률, 즉 난민 심사를 완료한 사람 가운데 난민으로 인정한 비율은 지난 10년 평균 약 1.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25%에 비해 한참 낮은 수준이다...
한국일보, 2022.10.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102509350004222?did=NA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102509350004222?did=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