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추진한 대학 “국제화”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대는 2008년 이후 지금까지 교원의 다양성 확보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이 같은 정책이 외부에서 이식된 정책이었던 탓에 서울대 내에서 국제화에 필요한 정책들을 …
해를 거듭할수록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다양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본교는 구성원인 교원, 학생, 직원들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들 개개인의 능력을 충분히 발현시켜 개방성, 수월성, 공정성, 포용성, 지속가능성 측면에…
2016년 <서울대학교 다양성 환경조사>는 서울대학교에서 처음 실시된 대학 다양성 환경조사(campus climate survey)로서, 대학내 다양성의 현황을 구성원의 관점에서 충실히 조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서울대…
대학의 핵심 기능인 교육·연구·사회봉사를 수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가 교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원 개개인의 역량이 최대한 발현되고 이것이 대학 공동체의 역량으로 이어지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초점은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