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기획과제] 서울대학교 다양성위원회 2030 발전계획 수립 연구
21-10-27 10:12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1-10-27 10:12 조회875회 댓글0건첨부파일
-
다양성위원회 2030 발전계획 수립연구 보고서.pdf (1.5M) 143회 다운로드 DATE : 2022-06-22 17:51:02
관련링크
본문
학문을 연구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의 증진은 가치를 정립하고 서로 존중하고 함께 발전하는 사회를 만드는 과정이다. 다양성의 개념은 이제 어떤 확정된 개념이나 차원을 지니고 있다기보다 특정 집단이 정의하는 일종의 사회적 경계에 의해 그 구체성이 드러나고 또 공유되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다양성과 화합은 소수의 인권을 존중한다는 차원뿐 아니라 학문적, 기술적, 사회적 탁월함을 고취하는 데에도 필수적이다.
2021년도 기획과제
| 서울대학교 다양성위원회 2030발전계획 수립 연구
|
목 차 |
제1장 연구개요 | 1. 다양성의 가치와 대학의 역할 | |
2. 서울대학교 다양성 2030 발전계획 연구 | ||
제2장 한국 사회에서 다양성이 제기되는 배경과 다양성 차원 | 1. 다양성과 한국사회 | |
2. 대학의 다양성정책이 고려해야 할 다양성의 차원 | ||
3. 다양성 지표 | ||
4. 기능적 다양성의 이해 | ||
제3장 다양성 환경과 인식 | 1. 서울대학교 다양성 환경 | |
2. 대학의 다양성 정책 | ||
3. 학부학생 인터뷰 연구를 통한 구성원 인식 | ||
제4장 해외대학 및 국내 대학 사례 | 1. 하버드 대학교 | |
2. 스탠포드 대학교 | ||
3. 옥스퍼드 대학교 | ||
4. 고려대학교 | ||
5. 도쿄대학교 | ||
6.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 ||
제5장 다양성 2030 전략과 방향성 | 1. 단과대학을 넘어서는 융복합창의교육 | |
2. 거주형 대학 (Residential College:RC) | ||
3. 국제화와 외국인 구성원 | ||
4. 모두를 위한 캠퍼스 구축 | ||
5. 사회공헌을 통한 다양성 교육 | ||
6. 창업 프로그램 재구성 | ||
7. 사회-소속감 개입 연구 | ||
8. 찾아가는 감수성 교육 | ||
9. 리더십 교육과 대락 리더십, 그리고 거버넌스 | ||
제6장 결론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